애플페이 신한, KB국민카드 도입 임박?!
신한·KB국민카드, 애플페이 도입 임박!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최근 현대카드에 이어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도 애플페이 도입을 준비하면서 카드업계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애플페이가 확대되면서 젊은 층의 카드사 이동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동시에 카드사와 가맹점, 소비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
애플페이 신한카드 국민카드 |
애플페이 도입, 카드사들의 선택은?
국내 상위권 카드사인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는 애플페이 도입을 위한 준비를 거의 마친 상태입니다. 특히 신한카드는 자사 앱에서 애플페이 이용 안내 화면이 일시적으로 노출되면서 도입이 임박했음을 암시했습니다.
KB국민카드 역시 올해 상반기 내 애플페이를 정식 출시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카드사들이 애플페이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이유는 젊은 고객층 확보입니다. 애플 아이폰 이용률이 높은 20~30대 고객을 유치하는 것이 핵심 목표로, 애플페이를 먼저 도입한 현대카드가 젊은 고객층을 많이 확보한 사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현대카드는 2023년 애플페이 도입 이후 신용카드 결제액 증가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됩니다.
![]() |
애플페이 카드사 |
애플페이가 카드사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1. 카드사 부담 증가
애플페이의 가장 큰 단점은 높은 결제 수수료입니다. 애플은 카드사로부터 결제액의 최대 0.15%를 수수료로 받고 있으며, 이는 중국(0.05%)의 3배 수준입니다. 카드업계에서는 애플페이 도입 시 연간 수천억 원대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카드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결국 소비자 혜택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간편결제 시장의 변화
현재 국내 간편결제 시장은 대부분 무료 수수료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는 카드사로부터 별도의 수수료를 받지 않지만, 애플페이가 유료 모델을 적용하면서 향후 간편결제 서비스들이 수수료를 도입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가맹점의 추가 비용 부담
애플페이는 NFC 기반 결제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맹점들은 NFC 단말기를 추가로 도입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신용카드 가맹점 중 NFC 결제가 가능한 단말기를 보유한 곳은 10% 수준에 불과합니다. NFC 단말기 교체 비용은 가맹점주가 부담해야 하므로, 중소형 자영업자들에게는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
애플페이 사용처 |
애플페이 도입, 득일까 실일까?
애플페이 도입이 카드사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부담도 적지 않습니다. 높은 수수료, 단말기 교체 비용, 소비자 혜택 축소 가능성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카드사들은 신중한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사가 늘어나면서 아이폰 사용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향상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카드사들의 혜택 축소와 간편결제 수수료 유료화 가능성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애플페이의 확산이 국내 결제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앞으로의 흐름을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