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공동명의 판매 및 명의 변경 시 필요한 서류 정리
🚗 자동차 공동명의 판매 및 명의 변경 시 필요한 서류 정리
자동차를 팔거나 명의 변경을 하려고 하면,
막상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특히 저처럼 차량이 [ 공동명의(본인 99%, 부모님 1%) ]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준비해야 할 서류가 조금 더 복잡해집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알아본 내용을 기준으로,
✅ 본인 단독 명의로 바꾸는 방법
✅ 공동명의 상태에서 판매하는 방법
✅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 차이
이 세 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본인 단독 명의로 변경할 때
공동명의를 풀고 본인 100%로 바꾸려면,
부모님이 차량을 본인에게 매도하는 방식으로 이전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
방문 장소 : 관할 자동차등록사업소
-
필요 서류
-
(아버님 → 매도인)
-
인감증명서(차량 매도용)
-
인감도장 날인된 양도증명서
-
신분증 사본
-
-
(본인 → 매수인)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자동차등록증
-
보험 가입증명서
-
취득세 및 수수료
-
-
👉 쉽게 말해, "아버지가 아들에게 차량을 판다"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2. 공동명의 상태 그대로 차량 판매할 때
만약 아버님 지분 1%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차량을 판매하려면,
공동명의자 전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즉, 아버님이 직접 등록사업소에 가지 못한다면 위임 서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아버님 준비물
-
인감증명서(차량 매도용)
-
인감도장 날인된 양도증명서
-
위임장(자동차 매도 위임 내용, 인감 날인)
-
신분증 사본
-
-
본인 준비물
-
신분증
-
인감증명서
-
인감도장 날인된 양도증명서(본인 부분)
-
자동차등록증
-
보험 가입증명서
-
👉 즉, 공동명의자 본인이 직접 가지 않아도
인감증명서 + 인감도장 날인 서류 + 위임장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 3. 인감도장 없이 인감증명서만 가능할까?
많이 헷갈리는 부분인데요.
정답은 불가능입니다.
-
인감증명서만 제출한다고 해서 법적 효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반드시 양도증명서에 인감도장이 날인되어야 효력이 인정됩니다.
-
따라서 “인감증명서만 있으면 된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 직접 경험해보니…
저도 처음에는
"99%는 내가 갖고 있으니 그냥 팔 수 있겠지?"라고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공동명의라는 이유만으로 서류가 훨씬 더 까다로웠습니다.
특히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동시에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시간이 더 걸리더라고요.
👉 만약 차를 곧바로 판매할 계획이라면,
먼저 단독 명의로 바꾼 뒤에 파는 게 더 깔끔합니다.
👉 아버님이나 가족이 시간이 안 되신다면,
위임장 + 인감증명서 + 인감도장 날인 서류를 미리 받아 두는 게 필수입니다.
✅ 정리
-
본인 100% 명의 변경 : 아버지가 매도인, 본인이 매수인으로 소유권 이전
-
공동명의 상태로 판매 : 아버지 서류(인감증명서, 위임장, 인감 날인 서류) 필수
-
인감증명서만은 불가 : 반드시 인감도장이 필요
📌 저처럼 자동차 공동명의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면,
등록사업소에 미리 전화해서 양도증명서와 위임장 양식을 받아 두세요.
현장에서 서류가 하나라도 빠지면 다시 와야 해서 번거롭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